동의혈자리사전

양장 | 195x258 mm | 228 쪽 | ISBN 9788984286344

810여 개에 달하는 혈자리와 침뜸법을 실은 혈자리 사전입니다. 국제표준 혈자리가 361개인 데 견줘 방대한 수록양입니다. 정교한 총천연색 인체 세밀화를 그려 넣어 쉽고 정확하게 혈자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우리보다 겨레 의학 연구가 활발한 북녘에서 펴낸 《고려림상의전》(2002)의 부록인 〈개별 침혈 찾아보기〉를 현실에 맞게 다듬어 사전으로 묶은 것입니다.

펴낸날 2011-01-05 | 1판 | 민족의학연구원 | 글 민족의학연구원 |

50,000원

45,000원 (10% ↓)

45,000원 (10% ↓)

1.《동의혈자리사전》을 펴내는 의미


이 책은 북녘에서 펴낸 《고려림상의전》(2002)에 들어 있는 부록 중 하나인 〈개별 침혈 찾아보기〉에 실린 혈자리와 학술 정보를 우리 현실에 맞게 다듬어 사전 형식으로 묶은 것입니다. 전통적으로 쓰이던 혈자리가 360여 곳이었다면 북녘은 많은 임상실험을 거쳐 810여 곳의 혈자리를 내놓고 있습니다. 이런 성과를 남녘의 전공자들과 공유하고 많은 이들이 나누어야 한다고 믿기에 보기 좋게, 그리고 정확하게 다듬어 펴냈습니다.


겨레의 지혜로 건강을 지키는 데 밑바탕이 되는 기본서


‘민족의학연구원’이 추구하는 것은 무엇보다 우리가 자신의 건강과 몸의 주인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 전통에는 민족의학연구원이 추구하는 지혜가 많이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 속의 지혜를 찾아내어 오늘의 현실과 조화를 이루면서 발전시켜 나가자는 것이 바로 민족의학연구원의 바람입니다. 그리고 그 지혜 가운데 침과 뜸이 있습니다. 침과 뜸으로 스스로를 다스리려면 혈자리를 알아야하니 《동의혈자리사전》이 겨레 건강의 밑바탕이 될 거라 믿습니다.


전통의학이 발달한 북녘 의료계


북녘은 우리 전통의학이 많이 발달했습니다. 특히 침구 치료는 약물, 부항, 민간요법과 같은 여러 전통의학 치료법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1960년대에는 생리학자 김봉한 선생이 경혈·경락의 해부학적 실체를 다룬 ‘봉한학설’을 발표하여 국제학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서울대학교를 비롯해 국내외 여러 곳에서 ‘봉한학설’에 대한 연구가 다시 이루어져 혈자리의 실체가 점차 밝혀지고 있기도 합니다.



2.《동의혈자리사전》의 특징


1) 전통적 혈자리 수 360개를 훌쩍 넘어 810여 개에 달하는 고려의학 혈자리 총망라


전통적으로 활용되는 혈자리, 즉 WHO에서 한, 중, 일 중심으로 정한 표준 혈자리는 360여 곳이지만 추가로 많은 혈자리가 발견되어 왔고 북녘에서는 이를 연구하여 정리했습니다. 이런 추가 혈자리를 경외기혈이라 부르는데 치료 효과가 좋고, 침구학에서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동의혈자리사전》에는 경외기혈을 포함하여 북녘의 전통의학(동의학 또는 고려의학) 전문가들이 임상 실험을 거친 모두 810여 곳의 혈자리를 총망라하여 싣고 있습니다.

2) 정교한 총천연색 인체 세밀화


《동의혈자리사전》은 원서에 실린 작고 부정확한 혈자리 그림을 버리고, 실제 인체의 겉과 속을 함께 들여다보는 것처럼 정밀한 형상 및 피부 묘사에 인체 골격도까지 더한 세밀화를 제작하였습니다. 전문 세밀화가가 실제 인체를 모델로 정밀하게 그린 까닭에 훨씬 정확한 혈자리 위치를 볼 수 있습니다.

3) 국내 한의사들의 치밀한 감수


정밀한 인체 세밀화를 바탕으로 현재 연구와 진료에 종사하는 국내 한의사들이 표점을 하나하나 직접 찍었고, 모든 혈자리에 관한 한의학 정보를 일일이 감수하였습니다.

4) 혈자리마다 병증에 맞는 침뜸법 수록


‘일침이구삼약(一鍼二灸三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침과 뜸이 약과 함께 매우 중요한 영역임을 강조한 말입니다. 그래서 《동의혈자리사전》에는 병증에 맞는 침뜸법이 각각의 혈자리마다 수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경맥, 위치, 주치 및 혈자리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 한 번에 혈자리를 찾을 수 있는 인체 전신 그림 부록


《동의혈자리사전》에는 사람의 전신 그림(앞, 뒤, 옆면)에 혈자리를 표시한 경맥침혈도와 경외기혈도가 별지 세 장으로 첨부돼 있습니다.

 

 

3. 이 책을 봐야 할 분들


한의학 전공자는 물론 전통의학에 관심 있는 분들의 필수 참고서


《동의혈자리사전》은 우리 전통의학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북녘의 결과물입니다. 남녘의 전통의학 전공자들이 참고할 부분이 많을 것입니다. 특히 효과가 좋고, 침구학에서 빠뜨릴 수 없는 경외기혈을 공부하는 데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 한 눈에 들어오는 명확한 그림과 쉽게 풀어 쓴 설명으로 일반인들이 보기에도 어려움이 없습니다. 한의학 전공자는 물론 전통의학으로 스스로의 건강을 지키려는 분들이 꼭 갖추어야 할 실용서입니다.

4. 맺음말


사람을 살리는 남북교류의 성과


현재 남북관계는 서로 죽임의 총부리를 겨누고 있습니다. 남북 사이가 죽임이 아닌 살림의 관계가 되어야 함에는 누구도 이의가 없을 것입니다.《동의혈자리사전》은 사람을 살리는 남북교류의 성과입니다.

5. 민족의학연구원 소개


요즘 ‘슬로푸드’나 ‘로컬푸드’가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착한 먹을거리’는 사람에게만 좋은 것이 아니라 생태계를 지키고 가꾸는 데에도 좋다. 이런 생각과 행동이 새로운 문명과 살림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듯이 건강을 지키고 병을 치료하는 것도 자연의 순리와 생명의 본성을 따라야 한다. 이것이 재단법인 민족의학연구원의 생각이다.


패스트푸드와 같은 잘못된 먹을거리의 폐단을 아는 사람들은 시간과 정성을 들여 ‘착한’ 농사를 짓고 제대로 된 밥을 먹으려고 애쓴다. 마찬가지로 약품 남용에 찌든 의료 현실을 넘어서 전통의학을 바탕으로 생명의 뜻을 실현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민족의학연구원은 그렇게 농사와 의료를 하나로 아울러 땅과 자연을 살리고, 사람과 모든 생명을 살리고자 설립되었다.


민족의학연구원을 설립한 윤구병(농부) 씨는 오래전부터 남녘과 북녘, 도시와 농촌, 중산층과 빈민, 사무직과 생산직의 ‘벽’을 허물고 겨레 모두가 건강하고 생태적인 살림살이를 지킬 수 있도록 실천하려는 뜻을 세웠다. 그가 정년이 보장된 대학 교수직을 그만두고 전라북도 변산반도에 공동체를 세우고 농사꾼이 된 것은 15년 전이다.


2007년 그는 오랜 준비 끝에 재단법인 민족의학연구원을 세우고, 농사와 의료를 결합하기 시작했다. 민족의학연구원이 직영하는 ‘문턱 없는 밥집’은 도시 사람들도 유기농 재료로 만든 ‘착한 밥’을 먹어야 한다는 뜻을 담았다. 이와 함께 유기농산품, 유기농 차와 술, 공정무역 제품, 시민들이 기증한 옷을 ‘리폼’하여 저렴하게 판매하는 ‘기분 좋은 가게’도 문을 열었다. 이 밖에도 민족의학연구원은 마포 주민들을 대상으로 뜻을 함께하는 한의사들과 함께 무료 검진과 건강 강좌를 해마다 열고 있기도 하다.
민족의학연구원 김교빈 원장(호서대학교 교수)은 “민족의학연구원은 변산공동체, 보리출판사와 손잡고 우리 겨레의 생태적 살림 운동을 벌여나가면서 민족의학을 결집하고, 겨레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도서를 앞으로 계속 출간할 예정입니다. 약손문고, 동의본초도감 전집, 민족의학 총서, 겨레살림 총서가 바로 그것입니다. 《동의혈자리사전》은 민족의학 총서 중 하나입니다”라고 이야기한다.

 

 


각손 / 간방 / 간사 / 간수 / 간실 / 간열혈 / 강간 / 강과 / 강음 / 거각 / 거골 / 거골하 /
거궐 / 거궐수 / 거료(巨髎) / 거료(居髎) / 거비 / 건과 / 건리 / 건명 / 건명1 / 건명2 / 건명3 / 건명4 / 건슬 / 격관 / 격모 / 격수 / 견내릉 / 견내수 / 견료 / 견명 / 견삼침 / 견외수 / 견우 / 견정(肩井)1 / 견정(肩貞)2 / 견정(牽正) / 견중수 / 결분 /결핵혈 / 경거/ 경골/ 경문 / 경중¹ / 경중² / 경하 / 계단뜸 / 계맥 / 고골 / 고방 / 고황 / 곡골 / 곡빈 / 곡원 / 곡지 / 곡차 / 곡천 / 곡택 / 곤륜 / 공손 / 공최 / 관골 / 관문 / 관원 / 관원수 / 관충 / 광명¹ / 광명² / 교령 / 교신 / 구련환 / 구미 / 구허 / 구후 / 굴진 / 권료 / 권첨 / 궐음수 / 궤양 / 귀당 / 귀래 / 규내번 / 규외번 / 규음¹ / 규음² / 극문 / 극상 / 극천 / 근긴 / 근축/ 근평 / 금문 / 금진 / 급맥 / 기단 / 기당 / 기문(期門) / 기문(箕門) / 기사¹ /  기사² / 기영 / 기죽마혈 / 기천 / 기충 / 기하 / 기해 / 기해수 / 기혈 / 기호


나력 / 낙각 / 낙령5 / 낙상 / 낙지 / 낙침 / 난미 / 내곤륜 / 내과첨 / 내관 / 내마점 / 내소해 / 내슬안 / 내영향 / 내음지 / 내정 / 내정명 / 내합곡 / 노궁 / 노상 / 노수 / 노식 / 노회 / 뇌공 / 뇌호 / 누곡 / 늑두 / 능동상 / 능동하 / 능하


단전 / 단중 / 담낭혈 / 담수 / 당양 / 대거 / 대골공 / 대도 / 대돈 / 대릉 / 대맥 / 대문 /
대영 / 대장수 / 대저 / 대종 / 대지두 / 대추 / 대추사화 / 대포 / 대혁 / 대횡 / 도도 / 독비 / 독수 / 독음 / 동명 / 동명1 / 동명2 / 동명4 / 동명5/ 동명6 / 동자료 / 두삼침 / 두섭 / 두유 / 두임읍 


만리 / 매보 / 매화삼침 / 맥근 / 명당 / 명문 / 모지리횡문 / 모지표횡문 / 목명 / 목삼침 / 목창 / 무명혈 / 미충


박고근운동점 / 반건양근운동점 / 반막양근운동점 / 발제¹ / 발제² / 방광수 / 배삼침 / 백로/ 백호 / 백환수 / 백회 / 백회십자침 / 백후혈 / 병풍 / 보랑 / 복결 / 복상삼침 / 복애 / 복참 / 복토 / 복하삼침 / 본신 / 봉안 / 부극 / 부돌 / 부류 / 부백 / 부분 / 부사 / 부양 / 불용 / 비간 / 비관 / 비교 / 비근 / 비노 / 비수 / 비양 / 비열혈 / 비장 / 비천 / 비출혈점


사강 / 사관 / 사독 / 사리 / 사만 / 사백 / 사봉 / 사전 / 사죽공 / 사중 / 사중봉 / 사차 / 사화 / 삼각구 / 삼간 / 삼백 / 삼양락 / 삼음교 / 삼초수 / 삽화 / 상거허 / 상곡 / 상곡지 / 상곡천 / 상관 / 상구 / 상렴 / 상렴천 / 상료 / 상명 / 상삼음교 / 상선 / 상성 / 상승읍 / 상양 / 상양관 / 상영향 / 상예풍 / 상완 / 상이근 / 상정명 / 상천주 / 상치통혈 / 상팔풍 / 상풍시 / 상합곡 / 상합양 / 상해계 / 상혈해 / 상후계 / 석관 / 석문 / 선기 / 소골공 / 소락 / 소료 / 소부 / 소상 / 소아식간 / 소아작목 / 소양유 / 소장수 / 소충 / 소택 / 소해 / 속골 / 솔곡 / 수고 / 수구 / 수담 / 수도 / 수돌 / 수분 / 수분상 / 수사백 / 수삼관 / 수삼리 / 수심 / 수족소지첨 / 수족수공 / 수천 / 순리 / 숭골 / 슬관 / 슬삼침 / 슬안 / 승광 / 승근 / 승령 / 승만 / 승명 / 승부 / 승산 / 승읍 / 승장 / 시소 / 식관 / 식두 / 신건 / 신곡지 / 신궐 / 신기혈 / 신늑두 / 신당¹ / 신당² / 신도 / 신맥 / 신문 / 신봉 / 신사화 / 신생/ 신수 / 신식 / 신열 / 신염 / 신장 / 신정 / 신주 / 신척 / 신총 / 신혈 / 신회 / 실면 / 심모 / 심수 / 십사추 / 십선 / 십왕 / 십이정혈 / 십칠추하



아문 / 안면 / 안태혈 / 애역 / 액문 / 액상 / 액중 / 액하 / 양강 / 양계 / 양곡 / 양관(陽關)¹ / 양관(陽關)² / 양교 /양구 / 양로 / 양릉천 / 양문 / 양백 / 양변 / 양보 / 양유 / 양지/ 어미 / 어요 / 어제 / 여구 / 여슬 / 여태 / 연곡 / 연구 / 연액 / 열결 / 염좌상 / 염천 / 영대 / 영도 / 영향 / 영허 / 예명 / 예풍 / 오리(五里) / 오리(五里) / 오주구 / 오처 / 오추 / 오화침 / 옥당 / 옥액 / 옥예 / 옥침 / 온류 / 완골(完骨) / 완골(腕骨) / 외곡천 / 외과첨/ 외관 / 외구¹ / 외구² / 외로궁 / 외릉 / 외마점 / 외명 / 외수분 / 외음렴 / 외정천 / 외직립 / 요기 / 요령 / 요목 / 요부팔혈 / 요수 / 요안 / 요의 / 요중 / 요통점 / 요퇴점 / 용천 / 용함 / 우의 / 욱중 / 운문 / 위락 / 위모 / 위상(胃上)1 / 위상(胃上)2 / 위상(委上) / 위수 / 위양 / 위열혈 / 위완하수 / 위중 / 위창 / 위하 / 위하수 / 위혈 / 유근 / 유도 / 유문 / 유상 / 유중 / 유포 / 육경추방 / 은교 / 은구 / 은문 / 은백 / 음곡 / 음교 / 음극 /음도 / 음렴 / 음륜 / 음릉천 / 음서 / 음시 / 음지 / 음포 / 응창 / 의사 / 의탄 / 의희 / 이간 / 이내정 / 이문 / 이백 / 이변 / 이상 / 이선문 / 이외 / 이질민감점 / 이첨¹ / 이첨² / 이혈 / 인당 / 인대상 / 인대하 / 인문 / 인영 / 인중 / 일선문 / 일월 / 임명 / 임백 / 임천


자궁(子宮)/ 자궁(紫宮) / 자궁출혈 / 자장 / 자호 / 장강 / 장곡 / 장내전근운동점 / 장무지굴근운동점 / 장무지신근운동점 / 장문 / 장비골근운동점 / 장요골측수근신근운동점 / 장유/ 장장근운동점 / 장지굴근운동점 / 장지신근운동점 / 장풍 / 적취비괴 / 적혈 / 전간 / 전경골근운동점 / 전곡 / 전마점 / 전시 / 전정 / 전진 / 전탄 / 전회음 / 절상 / 절하 / 절학 / 접골 / 정궁¹ / 정궁² / 정명 / 정영 / 정천(定喘)1 / 정천(定喘)2 / 정천(停喘) / 정천칠령/ 정추 / 제고 / 제고수 / 제궁 / 제삼침 / 제상하 / 제상하오푼 / 제중사변 / 조구 / 조약 / 조해 / 족삼리 / 족소지첨 / 족임읍 / 족전사백 / 족중충 / 족후사백 / 좌골 / 좌골신경점 / 좌유 / 좌의 / 주료 / 주영 / 주정 / 주첨 / 주추 / 주측 / 중갑 / 중괴¹ / 중괴² / 중극 / 중도¹ / 중도² / 중독 / 중둔근(운동점) / 중려수 / 중료 / 중봉 / 중부 / 중완 / 중저 / 중접 / 중정 / 중주 / 중천 / 중추 / 중충 / 중풍불어 / 증명1 / 증명2 / 증음 / 지갑1 / 지갑2 / 지건 / 지구(止溝) / 지구(支溝) / 지기 / 지사 / 지실 / 지양(止痒) / 지양(至陽) / 지오회 / 지음 / 지장 / 지전 / 지정 / 지창 / 지평 / 지하/ 지해 / 직골 / 직립 / 질변


차료 / 찬죽 / 척삼 / 척중¹ / 척중² /척택 / 천계 / 천돌 / 천령 / 천료 / 천부 / 천식 / 천용 / 천유 / 천정(天井) / 천정(天鼎, 天頂) / 천종 / 천주 / 천지¹ / 천지² / 천창 / 천천 /천추 / 천충 / 첩근 / 청궁 / 청랭연 / 청령(靑靈) / 청령(聽靈) / 청롱간 / 청민 / 청총 / 청향 / 청혈 / 청회 / 촌평 / 추변 / 축빈 / 충문 / 충수혈 / 충양 / 취모 / 취수 / 취천 / 치간 / 치뇌 / 치롱 / 치비1 / 치비3 / 치양 / 치전근 / 치창 / 치탄1 / 치탄6 /칠경추방


타척 / 탁욕 / 태계 / 태단 / 태백 / 태양 / 태연 / 태을 / 태음 / 태충 / 택전(뒤) / 택전(앞) / 택하 / 통곡¹ / 통곡² / 통관 / 통리 / 통천 / 통혈 / 투총


판문 / 팔관 / 팔료 / 팔사 / 팔수 / 팔추하 / 팔충 / 팔풍 / 팔화 / 팔회 / 편도체 / 편력 / 폐모¹ / 폐모² / 폐문 / 폐수 / 폐열혈 / 포문 / 포황 / 표사령 / 풍륭 / 풍모 / 풍문 / 풍부/
풍시 / 풍지 / 피임혈


하거허 / 하곡골 / 하곤륜 / 하관 / 하관하오푼 / 하극수 / 하렴¹ / 하렴² / 하료 / 하부돌 /
하승산 / 하아문 / 하열점 / 하예명 / 하오리 / 하온류 / 하완 / 하요 / 하정명 / 하중극 / 하지실 / 하지창 / 하초수 / 하치통혈 / 하태충 / 하풍지 / 하협백 / 하횡골 / 학정¹ / 학정²/
함곡 / 함염 / 합곡 / 합양 / 항강 / 해계 / 해천 / 행간 / 현로 / 현리 / 현명 / 현종 / 현추/ 혈부 / 혈수 / 혈압점 / 혈해 / 협거 / 협계 / 협당 / 협리 / 협백 / 협상성 / 협승장 / 협척 / 호구 / 호궁 / 혼문 / 혼사 / 홍선 / 화개 / 화료(禾髎/) 화료(和髎) / 환도 / 환문 / 환중 / 활육문 / 황모 / 황문 / 황수 / 회기 / 회양 / 회음 / 회종 / 회춘 / 횡골 / 후계 / 후액 / 후정 / 후항 / 흉당 / 흉향

미리보기 준비 중입니다.